목차
1. 라인하르트 소개
2. 라인하르트 스킬
3. 운용
4. 메타
5. 패치내역
1. 라인하르트 소개

연령 : 61세
직업 : 모험가
활동지역 : 독일, 슈투트가르트
" 정의의 이름으로. "
라인하르트 빌헬름은 옛 용사를 본받아, 용맹, 정의, 용기라는 기사도의 미덕을 따른다.
삽십여 년 전, 세계적인 로봇 반란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오버워치가 설립되었다. 숱한 훈장을 자랑하는 독일 군인 라인하르트는 옴닉 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한 원년 오버워치 기동대의 일원이었다. 사태 종식 후 오버워치는 전 세계적 기관으로 성장하여, 전쟁의 상흔을 입은 세계의 평화를 지켰다. 라인하르트는 이 조직에서 가장 강직한 용사임을 증명한 바 있다.
라인하르트는 특유의 도덕성과 기개로 동료는 물론 상관의 경의까지 얻었다. 늘 주저 없이 자신의 뜻을 밝히는 그는, 오버워치를 강력히 옹호하는 한편으로 필요하다면 엄격히 비판하기도 하면서 오버워치가 선을 추구하는 세력임을 끊임없이 주지시켰다.
50대 후반까지 오버워치에 복무한 라인하르트는 실전 임무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현역에서 은퇴한 라인하르트는 목적과 영광을 따르던 나날이 끝이 났다고 생각하여 낙담하였다. 시대가 암울해지면서 오버워치는 부패에 빠져 대중을 선동한다는 의혹을 받기에 이르렀지만, 라인하르트는 자신이 평생을 바쳐 지킨 대의가 불명예에 물드는 것을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오버워치는 끝내 해체되었으나, 라인하르트는 세계가 무질서 상태에 빠지는 것을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었다. 그는 다시 크루세이더 갑주를 걸치고 유럽을 누비며 그 옛날의 기사와도 같이 정의를 위해 싸우기를 맹세하고, 무고한 이들을 보호하고 더 밝은 미래에 대한 꿈을 심어 주고 있다.
| 역할 | 돌격군 |
| 난이도 | 쉬움 |
| 생명력 | 기본300+방어력200 |
2. 라인하르트 스킬
지속능력(패시브)

2019년 8월 14일 222고정이 생기면서 추가된 능력치로, 넉백효과를 적게 받게 되면서, 브리기테, 둠피스트, 루시우, 파라 들의 넉백형 cc기 스킬에 영향을 덜 받게 된다.
2019년 12월 11일 패치에서 넉백 50%감소로 증가
2020년 4월 7일 패치에서 넉백 30%감소로 롤백
기본무기- 로켓해머 (Rocket Hammer)

한번에 85데미지를 주고 그 데미지는 시야각 133도 내에 있는 모든 적에게 피해를 준다. 또한 망치에 피격당하면, 순간적으로 느려지기에, 한대 더 떄릴수도 있다.
베타시절에는 데미지가 120이었다.
이후 정식출시되면서 데미지가 70으로 너프되었다가
2020년 12월 11일 85로 데미지가 증가되었다.
우클릭- 방벽방패 (Barrier Field)

"두려워 말게! 내가 그대들의 방패라네!"(Don't worry my friends! I am your shield!)
대부분의 투사체들을 방어할수 있는 최고의 방패로, 넓은 영역과 높은 내구도를 가진 스킬이다.
마우스 우클릭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이로 인해 방벽을 믿고 플레이를 하면 금방 녹을수도 있으니 주의!
다만, 윈스턴의 테슬라건과 점프팩, 둠피스트의 라이징 어퍼컷과 로켓 주먹 같은 스킬들은 막히지 않으니 주의하자.
방벽이 녹아서 파괴되면 5초동안 방벽을 사용할수 없게 되기에, 방벽 내구도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방벽 체력이 1이라도 남으면 자폭등을 막을수 있다.
다만, 캐서디(맥크리)의 석양은 다발성이라서 방벽내구도에 따라 갈린다.
2019년 12월 11일 패치로 이동속도가 50%->30% 감소하고, 방벽내구도가 2000에서 1600으로 감소하였다.
Shift - 돌진 (Charge)

현재 존재하는 스킬들 중에서 높은 데미지를 자랑하는 스킬이다. 이는 둠피스트의 로켓펀치(최소40~최대250)보다 높은 데미지를 자랑한다.
라인하르트가 돌진을 할 경우, 왼쪽이 더 나와있는 형태이기에, 왼쪽 판정이 높았으나, 현재는 잠수함패치로 인해 왼쪽과 오른쪽 판정이 같다.
시전시간이 0.7초라서 짧아보이지만, 시전할때의 기합소리와, 스킬 사용할때의 소리도 크기에 조심히 사용해야한다.
또한 이동거리가 50미터나 되다보니, 중간에 각종 cc기를 맞고 취소되는경우도 많아서 조심해야한다.
이로인해 요즘은 이동기나 거점내에서 단거리 제압기로 사용한다.
E - 화염강타 (Fire Strike)

라인하르트의 유일한 원거리 공격수단으로, 헤드판정은 없다.
또한 투사체 속도가 빠르지 않기에 맞추기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난전상황이나, 적들이 모여있을때는 맞히기 쉬워지기에
라운드 초반에 궁채우기 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잘하는 랭커는 이 스킬로 궁극기 10%~15%정도 채우고 시작할정도.
고인물 스킬이 존재하는데
로켓해머를 화면 중앙까지 휘두를 떄, 화명강타를 사용하면 이론상 185데미지를 줄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적들을 위축시켜 자리선점에서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Q - 대지분쇄 (Earthshatter)

"망치 나가신다!" ("Hammer down!")
존재하는 광역 스킬중 높은 능력을 갖고 있다. 방벽이나 벽등이 없는 경우, 범위 안의 적들에게 모조리 넘어뜨리기에 좋은 궁극기이다.
또한, 망치 한번에 5%, 화염강타 한번에 6%정도 궁극기가 차기에 충전속도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자리야의 자기방벽+주는방벽, 돌격군의 방벽들, 브리기테의 방벽등이 있으면 공격력만 주고 눕히지는 못한다.
또한 시전시간이 0.6초라서 상위티어에서는 취소되기 쉽기도 하다.
따라서 방벽캔슬망치나, 다른곳을 보다가 망치를 쓰는듯 시간차로 사용한다.
2020년 4월 30일 패치에서 cc기 단체너프로 인해 넘어뜨리기 지속시간이 3초 > 2.5초로 감소했다.
2022년 1월 7일 패치로 1.75m 안에 있는 적에게는 250의 데미지를 준다.
3. 라인하르트 운용
(본 내용은 카이저님과 콩두의 탱커 Panker님의 플레이팁을 참고하였습니다.)
라인하르트는 정면에서 어그로를 끌어 적의 공격을 자신에게 집중시키는 메인탱커이다. 이렇기에 정석적인 방법은 방벽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면서 전선을 압박/후퇴하는것이다.
그렇기에 방벽만 전개하고 가만히 있으면 방벽이 얼마 안가 꺠지고 녹기에, 왠만하면 움직이는 편이 좋다.
방벽으로는 정면에서의 투사체들을 막아주기에, 변수를 낼 수 있는 로드호그의 갈고리, 아나의 생체수류탄등은 방벽으로 막으면서 자리를 먹어야 한다. 요즘 알려진 로드호그의 원콤법은 라인하르트에는 불가능하기에, 조심하면서 게임하면 된다.
따라서 체력이 많거나 어그로가 안끌려있으면, 망치를 휘두르고, 체력이 절반이하이거나 어그로가 끌리면 방벽을 전개하는 이런 형식이 정석적이다.
이러면, 힐러들은 힐을 해서 힐러들 궁이 돌고, 방벽관리도 되기에, 한타운영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진은 긴거리를 이동하기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스킬이다. 그러나 성공하면 탱커를 제외하고 변수를 내기 쉽고, 살아나오면 무조건 한타승리에 큰 기여를 하기에 무조건 아끼는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1. 짧은 거리만 이동하도록 조정한다.
2. 난전 상황이나 한타가 발생중일때 사용한다.
3. 돌진 도착지가 적진영 한가운데나 바로 앞에 도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세가지를 유의하면서 사용한다.
또한 라인하르트의 방벽은 말했듯이 적들의 딜각과 힐각을 차단할 수 있는 가장 큰 능력이기에 파괴시키면 절대 안된다. 만약 파괴되면 방벽 내구도가 650이 될떄까지 사용 못하므로 방벽관리도 라인하르트 능력중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아래 접은글은 기초 팁들이다.)
1. 잘 모르겠으면 일단 방패로 막자. 돌진은 최후의 수단으로
2. 라인하르트는 높은 DPS를 갖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메인탱커이다. 그렇기에 최전방에서 적들의 딜각, 힐각을 차단해야하므로, 아군을 끼고 같이 있는게 좋다.
3. 궁극기는 채우는 속도가 빠르므로 자주 사용하는게 좋다.
4. 화염강타는 E에 저장되어있는데, 이는 움직이면서 사용하기 어렵기에, 마우스4번 키에 할당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5. 라인하르트 포항 중력자탄에 걸리면 되도록 방벽을 전개하는게 좋다.
4. 라인하르트 메타
출시 직후부터 밸런스가 가장 잘 잡힌 캐릭터로 평가받았다. 초창기부터 자주 사용되었으며, 겐지의 OP급 성능으로 돌진조합이 1시즌에는 흥했지만, 2~3시즌에는 아나의 출시와 함께 주류화되었다.
그러나 4~5시즌에는 돌진메타의 고착화와 함께 돌진조합과 다르게 고지대 먹기 어려운점, 각종 버그등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10시즌에는 돌진메타 너프를 하면서 중위권 픽률을 가지다가 브리기테의 등장과 한조의 리메이크로 인해 돌진메타가 메타 주류조합에서 내려오면서 힘싸움 메타가 시작되어 다시 라인하르트를 사용하기 시작되었다.
이후 3탱3힐 조합인 고츠조합이 메타의 주류조합이 되면서 16시즌까지 고정픽이 되었다.
16시즌 고츠조합 죽이는 패치로 딜러가 강해지면서 고츠조합vs브리+라자조합vs다딜조합으로 과도기를 겪다가 이후 오리사 출시로 인해 오호(호리사)조합의 부상으로 점점 픽률이 내려갔다. 경쟁에서는 호리사 조합이, 리그에서는 오리사디바 조합이 성행하면서 점점 사용하지 않게되다가,
18시즌 시그마의 등장으로 완저닣 몰락하였다.
둠피스트 및 2방조합의 너프로 18시즌 간접상향을 받았고, 19시즌 오리사와 시그마 방벽너프 및 넉백 무시량 증가로 픽률이 증가했으나,
현재 저격수 메타 및 힐러진의 바티-야타 폭딜 조합이 강해진 탓에 탱커 캐리력이 약해졌다.
1시즌
콩스턴 메타로 윈스턴이 강세였다.
1시즌 후반 ~ 2시즌
라인하르트 픽률이 증가하며 윈스턴과 비등비등 했었다.
3시즌
로드호그, 디바가 OP영웅으로 부상하며 윈스턴이 관짝에 들어가게 되고, 다른 메인탱커인 라인이 떠오르며, 라인-호그-디바 3탱메타가 성립되었다. 당시의 OP힐러 아나와의 궁합도 좋았고, 라인하르트의 방벽의 로드호그의 갈고리를 쉽게 막기에 더욱 자주 나왔다.
4시즌
윈스턴의 상향과 더불어 아나, 디바, 로드호그, 솔져의 너프로 빠른템포로 수적이득을 취하는 돌진메타가 유행하며 라인하르트의 픽률이 감소했다
5시즌
돌진메타가 정점에 다다르고, 라인하르트의 부족한 기동성과 버그들로 인해 픽률이 급락
6시즌
자리야의 큰 상향과 윈스턴 하드카운터인 로드호그의 픽률증가로 라인하르트의 픽률이 덩달아 상승했으나, 부족한 기동성과 수동적인 영웅 설계로 일부 전장에서만 나왔다. 또한 정크렛의 상향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더해졌다.
7시즌
오리사가 재평가 받아, 오리사+로드호그 조합의 부상으로 라인하르트의 픽률이 감소했다.
8시즌
메르시의 너프와 윈스턴의 픽률상승으로 오리사가 재평가로 인해 라인하르트와 자리야의 부족한 기동성과 전장에 따라 효율성이 차이남으로 인해 픽률이 감소했다.
9시즌
최상위티어에서는 픽률이 저조하지만, 쉬운 조작과 기본적인 영웅이라 광물티어에서는 많이 사용된다.
10시즌
브리기테의 등장으로 윈디겐트가 타격을 입으며 라자메타가 오게 되며 1티어로 부상했다. 이는 브리기테와 자리야의 궁합이 매우 좋기에 라인하르트의 입지도 동반상승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자리야의 부상으로 떠올랐지만, 브리기테의 방밀(우클릭 스킬)이 방벽통과가 되었기에 라인하르트의 유용성은 여전히 좋지 않았다.
11~12시즌
아나의 부활로 여전히 최상위 메인탱커이다
13~14시즌
3탱3힐조합이 천상계에서 유행하며 라인하르트의 입지가 더더욱 상승했다.
15시즌
대규모 밸런스 패치로 라자조합에서 벗어나 여러조합이 사용되면서 만능은 아니게 되었지만, 그대로 꾸준하게 라자조합을 사용한다
16시즌
딜러의 상향평준화로 다딜조합이 등장하며 방벽관리가 어려워지며 픽률이 하락했다
17시즌
호리사 조합의 독주가 진행
역할고정베타
33메타가 사라지면서 좀 쓸만해졌다.
18시즌
2방벽조합이 생겨나면서 관짝에 들어가나 싶었지만, 2방 상대로 윈디조합보다는 라자조합이 좋기에 간간히 사용되었다.
19시즌
방벽내구도가 400감소했지만 방벽전개 중 이동속도 감소량이 줄고, 넉백저항력이 증가하며 픽률이 대폭증가했다. 그러나 바티야타 폭딜형 힐조합으로 인해 루시우의 픽률이 줄어들고, 저격수메타가 오면서 여전히 픽류이 낮다.
20시즌
오리사와 시그마의 너프로 주류탱커로 올라갔다. 전장로테이션으로 더 자주 사용
21시즌
밴픽이 당하지 않은 경우, 항상 나오다시피 했다.
22시즌
라인하르트의 대체재인 오리사의 너프로 돌진조합을 제외하면 항상 기용. 라자 조합외에도 라인-시그마 조합에도 사용
23시즌
투방벽 너프와 로드호그 상향으로 호자조합이 메타에 자리잡으며 라인 유용성 감소
24시즌
로드호그 재너프로 그나마 사용하기 시작
25시즌
망치 데미지 85, 방어구 250 버프 받아서 사용되나 싶었지만, 호자바티젠야타 폭딜조합에는 불리. 그러나 마스터 구간 아래에서는 꾸준히 사용
26시즌
레킹볼이 1티어를 가지면서 자주 쓰이진 않게됨. 그러나 다이아 이하의 티어에서는 꾸준히 사용. 이후 레킹볼 재너프 이후 픽률 증가
27시즌 이후
아시아 서버에서는 윈스턴-자리야 조합의 사용이 더더욱 들었다. 라자조합은 정면대치에서 유리하지만, 윈자조합은 고지대점령을 통한 양각유도 등이나, 저격수 딜각 차단등에 유리해지면서 하위티어에서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황금밸런스 시기가 오면서
볼트조합이나 윈자조합, 윈디조합, 호리사 조합등 여러 조합이 사용되고 있으나, 천상계에서는 여전히 레킹볼의 꾸준한 너프에도 불구하고, 볼트조합이 유행하고 있고, 하위티어로 갈 수록 윈자조합이, 골드 아래로 내려가면 라자조합이 강세를 띄고 있다.
5. 패치내역
2016년 2월 9일 : 화염강타 헤드샷 판정 제거, 대지분쇄 데미지 50%감소, 효과 폭 40%로 감소
2016년 11월 30일 : 솜브라 해킹시 방벽이 내려가지 않던 버그 수정
2017년 5월 23일 : 대지 분쇄 효과의 높이가 3미터에서 2미터로 감소
2017년 7월 27일 : 망치 휘두르는 속도 10% 증가
2018년 2월 28일 : 낙사 등으로 방벽 내구도 영향 안되도록 수정
2018년 9월 19일 : 방벽 전개시 좌클릭으로 주변 돌아볼 수 있도록 수정
2019년 8월 14일 : 모든 영웅 궁극기 비용 12% 증가, 패시브: 불굴 추가
2019년 12월 11일 : 불굴 넉백감소효과 50%로 증가, 방벽 내구도 1600으로 감소, 이동속도 감소량 30%로 감소
2020년 4월 7일 : 불굴 넉백감소 30%로 감소
2020년 4월 30일 : 대지분쇄 넘어뜨리기 지속시간 2.5초로 감소
2020년 5월 20일 : 라인하르트 헤드판정 감소
2020년 6월 17일 : (잠수함 패치) 화염강타가 더 붉게 보임
2020년 12월 11일 : 방어구체력 50증가(총체력 550), 기본공격 85로 증가
2021년 4월 23일 : 방어구 체력 50 감소 (총체력 500)